환테크 10

어려운 환율? 쉬운 환율?

환율이란 무엇일까요? 흔히들 환율(煥率; exchange rate)을 우리나라 돈과 외국돈의 교환비율이라고 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살펴보면 환(煥; exchange)은 외국의 돈입니다. 좀 더 강조하기 위해 흔히 우리는 외환(外煥; foreign exchange)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다음은 율(率; rate)입니다. 율은 2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의미의 비율입니다. 둘째는 단가(가격)입니다. 우리가 외국에 여행을 갔을 때 하루에 호텔 비용이 얼마입니까?(How much is the rate per night?)이라고 묻게 됩니다. 이때의 rate의 의미는 비율이 얼마냐고 묻는 것이 아니라 하룻밤에 얼마냐? 즉 가격이 얼마냐고 묻는 겁니다. 즉 율은 단가(가격)을 의미합..

환테크 2021.08.24

경상수지 흑자와 환율의 연관성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수출호조 등에 힘입어 21년 상반기(6월)까지 14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경상흑자 규모는 443억달러를 넘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3%가량 증가했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경상수지는 88억5천만달러(약 10조1천200억원) 흑자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작년 5월 이후 14개월 연속 흑자이고, 작년 6월의 흑자 규모(71억6천만달러)보다는 23.6% 늘었습니다. 보통 한 나라의 경제상태가 건실하여 경상수지가 흑자인 경우 환율은 하락압력을 받게 됩니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경상수지가 흑자인 경우 많은 외화가 국내로 들어왔으니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환율이 하락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경상수지..

환테크 2021.08.23

달러인덱스(USDX)와 환율의 관계

오늘은 환율 관련 뉴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 달러인덱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달러인덱스란? 달러인덱스(U.S. dollar index / 티커명 DXY)라고도 불리우며 전 세계의 주요 통화들 중 달러의 강세와 약세를 나타내는 종합지표입니다. 달러지수는 유로화,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네, 스위스 프랑 등 6개 통화와의 비교를 통해 미국의 달러가 얼마만큼 강세 또는 약세를 보이는지를 수치화한 지수입니다. 여기서 잠깐! 6개 통화를 사용하는 나라는 몇 개 국가일까요? 6개국? 아닙니다! 현재 유로존 가입 국가는 총 27개국이며 이 중 19개 나라가 유로화를 사용하여 19 + 5 총 24개국이 사용하는 여섯 종류의 통화를 사용 중입니다. 특히, 달러지수는 유호화와 반대의..

환테크 2021.08.23

환율에서 말하는 펀더멘털이란?

요즘 환율이 급등하다 보니 펀더멘털에 대한 기사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 관련 기사에서 사용하는 펀더멘털(Fundamental)이란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환율에 있어서의 펀더멘털은 그 나라 경제의 기초체력을 의미합니다. 그 나라 경제의 건강하면 향후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완만한 물가 상승을 동반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처럼 수출 중심의 대외 개방경제에서는 1. 기업,금융기관, 가계 등의 건전성 2.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3. 대외부채 및 대외지불 능력 등이 펀더멘털의 주요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경제가 성장하게 되면, 1.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지게 됩니다. (경상수지 흑자) 2. 수출로 벌어들인 돈이 국내로 들어와 외화 유동성이..

환테크 2021.08.22

달러 ETN, ETF 즐거운 비명?

달러가치가 연이어 상승하고 있다. 즉 원화가치 대비 달러가치가 상승할 때를 미리 대비하여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알아보겠습니다. 1. KOSEF 미국달러선물 ETF (8월 20일 현재 1주당 12,340원) 원/달러 선물 지수의 일간 변동률의 1배를 추종하는 ETF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약세, 평가절하)할 때 하루 변동률의 1배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즉, 환율이 상승하면 수익을 보고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손실을 보는 ETF입니다. 2. KOSEF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 (8월 20일 현재 1주당 9,485원)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때 일간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즉 환율이 하루에 1% 상승하면 레버리지 ETF의 수익률은 2%가 됩니다. 그러나 반대로 환율 1% 하락 시 수..

환테크 2021.08.20

지난 10년 동안 평균 환율은 얼마?

2021년 현재 SK하이닉스의 주식은 10만원 선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2년 SK하이닉스의 주식은 2만원 대였다. 9년 사이 5배 정도 가격이 올랐습니다. 또는 그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거나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 된 종목도 있습니다. 10년 전 환율은 1,100원 대로 지금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주가와 달리 환율은 결국 평균을 향해 수렴하게 됩니다. 회사는 기업의 성장과 가치 상승을 통해 주가를 계속 우상향 시킬 수 있지만 한 국가 돈은 그 나라의 경기 순환에 따라 가치도 같이 우상향 또는 우하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하면 원화의 가치도 같이 상승(환율하락)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우리나라 물품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됩니다. 수출경쟁력 약화로 경..

환테크 2021.08.20

미 연준 21년 하반기 테이퍼링 시작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의 방향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 FOMC) 회의 결과에 따라 좌우됩니다. FOMC는 국채나 기타 유가증권 등을 시장에서 매입 또는 매각해 시중의 통화 유동성을 조절하고 시장금리 조정 등을 책임지기도 하며, 금융위기나 코로나-19 같은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양적완화 보다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이번 7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정확한 테이퍼링 개시 시점을 놓고 위원들 간의 갑론을박이 있기는 하지만 미 경제가 올해 초 예상했던 것보다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을 서서히 줄일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쪽으로 분위기가 흘러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 미국 통화량 증가 -> 시중금리 ..

환테크 2021.08.19

환전시 주의 사항 필수!! 환전시간도 중요하다.

환전시간이 이렇게 중요한지 몰랐습니다. 오전 9시를 기준으로 미국환율이 한국시장에 적용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습니다. 정확히는 몇시인지 모르겠으나 8시 25분을 전후로 바뀌는게 확인 되었습니다. 분명히 8시 23분에는 90% 우대 환율을 통해 1달러 당 1,176.55원으로 환전이 가능했으나 제 하나은행 통장에 잔고가 부족하여 타행을 통해 입금한 후 다시 환전 시도를 했습니다. 그 결과,,,,,, 8시 28분에는 환율이 상승한걸 볼 수 있습니다. 1달러 당 1,179,60원으로 말이죠... 5분 사이에 환율이 재적용 될걸 알 수 있습니다..... 하.....확인을 미쳐 못했습니다. 단 5분만에 3만원 가량 손해가 발생했습니다. 결론은 - 우리나라 은행에서 고시하는 환율은 은행 영업 종료 시각(18시) 이..

환테크 2021.08.18

8월 18일 환율! 오늘도 심상치 않다. 과연 상승할 것인가?

제일 아침에 일어나 먼저 하는것은 환율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한국의 외환시장은 어제 오후 6시에 매매기준율 기준으로 1,174.50원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인베스팅을 통해 미국의 외환시장을 확인한 결과 1,177.95원으로 3.45원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9시가 되면 한국에서의 달러 환율도 1,177.95원으로 시작할 것입니다. 오늘은 1만달러를 환전해 볼 계획입니다. 환율은 사고 팔때 수수료로 인해(살때 +2원, 팔때 -2원) 최소 내가 매매한 금액보다 5원 이상 오르고 되팔아야 조금이나마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3.45원의 차이가 있으니 1.5원만 올라도 이득을 보겠죠? 환율의 변동성이 심한 요즘이 환차익(환테크)을 노려보기 좋은 시점인거 같습니다. 환테크란..

환테크 2021.08.18

8월 17일 (수) 환차익(4,100원) 이게 환테크?ㅋ

오늘 작지만 알찬 돈을 벌었습니다. 앞으로 환율공부도 하고 경제공부도 같이 할 계획입니다. 원화 가치가 급락(환율 상승 = 달러 가치 증가)하면서 17일 원·달러 환율이 1175원 선을 넘어섰다.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주식을 대거 팔아치운 데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시중 유동성 공급을 줄여나갈 것(테이퍼링)이라는 전망이 반영된 여파라고 기사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환율은 신의 영역이라고 하지 않았나! 환율의 예측은 불가능하다. 어떻게 잘 대응하느냐가 최선이다. 테이퍼링 [ tapering ]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돈풀기)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 출구전략(돈을 풀었으니 거두겠다는 의미)의 일종이다.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뜻으로 2013..

환테크 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