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현재 SK하이닉스의 주식은 10만원 선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2년 SK하이닉스의 주식은 2만원 대였다. 9년 사이 5배 정도 가격이 올랐습니다.
또는 그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거나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 된 종목도 있습니다.
10년 전 환율은 1,100원 대로 지금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주가와 달리 환율은 결국 평균을 향해 수렴하게 됩니다.
회사는 기업의 성장과 가치 상승을 통해 주가를 계속 우상향 시킬 수 있지만
한 국가 돈은 그 나라의 경기 순환에 따라 가치도 같이 우상향 또는 우하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하면 원화의 가치도 같이 상승(환율하락)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우리나라 물품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됩니다.
수출경쟁력 약화로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면 원화 가치가 하락(환율상승) 하게 됩니다.
한국 경제성장 > 환율하락(원화가치 상승) > 수출경쟁력 약화(수출 물품 가격 상승) > 무역수지 적자 > 경기하락 > 환율상승(원화가치 하락) |
즉, 환율은 무한정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경기에 좋고 나쁨에 따라 강세와 약세를 반복하게 됩니다.
외환시장은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계속 열리고 기회도 계속 찾아오게 됩니다.
환율이 장기 평균(1,120~30원) 대비 점점 벌어지기 시작하면
이에 상응하는 투자법(RP, 선물 ETF 등)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환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에서 말하는 펀더멘털이란? (0) | 2021.08.22 |
---|---|
달러 ETN, ETF 즐거운 비명? (0) | 2021.08.20 |
미 연준 21년 하반기 테이퍼링 시작 (0) | 2021.08.19 |
환전시 주의 사항 필수!! 환전시간도 중요하다. (0) | 2021.08.18 |
8월 18일 환율! 오늘도 심상치 않다. 과연 상승할 것인가?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