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테크 3

지난 10년 동안 평균 환율은 얼마?

2021년 현재 SK하이닉스의 주식은 10만원 선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2년 SK하이닉스의 주식은 2만원 대였다. 9년 사이 5배 정도 가격이 올랐습니다. 또는 그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거나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 된 종목도 있습니다. 10년 전 환율은 1,100원 대로 지금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주가와 달리 환율은 결국 평균을 향해 수렴하게 됩니다. 회사는 기업의 성장과 가치 상승을 통해 주가를 계속 우상향 시킬 수 있지만 한 국가 돈은 그 나라의 경기 순환에 따라 가치도 같이 우상향 또는 우하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하면 원화의 가치도 같이 상승(환율하락)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우리나라 물품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됩니다. 수출경쟁력 약화로 경..

환테크 2021.08.20

8월 18일 환율! 오늘도 심상치 않다. 과연 상승할 것인가?

제일 아침에 일어나 먼저 하는것은 환율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한국의 외환시장은 어제 오후 6시에 매매기준율 기준으로 1,174.50원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인베스팅을 통해 미국의 외환시장을 확인한 결과 1,177.95원으로 3.45원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제 곧 9시가 되면 한국에서의 달러 환율도 1,177.95원으로 시작할 것입니다. 오늘은 1만달러를 환전해 볼 계획입니다. 환율은 사고 팔때 수수료로 인해(살때 +2원, 팔때 -2원) 최소 내가 매매한 금액보다 5원 이상 오르고 되팔아야 조금이나마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3.45원의 차이가 있으니 1.5원만 올라도 이득을 보겠죠? 환율의 변동성이 심한 요즘이 환차익(환테크)을 노려보기 좋은 시점인거 같습니다. 환테크란..

환테크 2021.08.18

8월 17일 (수) 환차익(4,100원) 이게 환테크?ㅋ

오늘 작지만 알찬 돈을 벌었습니다. 앞으로 환율공부도 하고 경제공부도 같이 할 계획입니다. 원화 가치가 급락(환율 상승 = 달러 가치 증가)하면서 17일 원·달러 환율이 1175원 선을 넘어섰다.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주식을 대거 팔아치운 데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시중 유동성 공급을 줄여나갈 것(테이퍼링)이라는 전망이 반영된 여파라고 기사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환율은 신의 영역이라고 하지 않았나! 환율의 예측은 불가능하다. 어떻게 잘 대응하느냐가 최선이다. 테이퍼링 [ tapering ]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돈풀기)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 출구전략(돈을 풀었으니 거두겠다는 의미)의 일종이다.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뜻으로 2013..

환테크 2021.08.17